[코딩 누적 29일차] 입력 입문
입력을 통해 프로그램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기초적인 방식을 배움.
입력을 통해 프로그램이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기초적인 방식을 배움.
추상적인 개념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실례가 필요한 구체적인 사람인지라 행복과 같은 추상적 개념은 그 자체로는 잘 와닿지 않습니다. 심리학 전공이 적성에 맞았던 것도 행복이나 사랑과 같은 애매모호한 추상적 개념을 조작적 정의를 통해 구체화하는 것이 필수였기 때문입니다.
이 책은 행복을 추상적 개념이 아니라 진화적 관점에서 매우 구체적으로 접근합니다. 가령, 사회적 지위 추구나 예술 작품을 만드는 행위 모두 생존과 짝짓기라는 동기에 의해 추동된다고 봅니다. 자선 행위나 정의 추구와 같은 고차적 행동도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사회 안에서 생존과 짝짓기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채택된 일종의 도구라고 봅니다.
한 줄 요약: DPHP는 내담자가 자기 및 타인과 맺는 관계 패턴을 의식화함으로써 무의식적 갈등과 방어를 이해하고, 내외적 자극에 보다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게 돕는다.
오토 컨버그가 개발한 전이초점 심리치료를 기능 수준이 상대적으로 양호한 성격병리(아래 경증성격병리 설명 참고)를 지닌 내담자에 맞게 변형한 것이 DPHP입니다.
전이초점 심리치료가 정신역동에 기반하기 때문에 그 형제격인 DPHP도 정신역동적 치료 접근을 합니다.
DPHP는 성격의 경직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치료 목표로 하며, 이를 위해 무의식을 의식화하는 데 주안점을 두는 정신역동적 방식을 따릅니다. 저자에 따르면 여기서 말하는 무의식은 억압으로 인해 의식되지 못한 영역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거나, 그 중요성이 부정되거나 부인된 생각, 감정, 지각을 의미합니다.
Snip | 40sec snip from The Modern Therapist’s Survival Guide with Curt Widhalm and Katie Vernoy
물건을 팔기 위해서는 그 물건이 어떤 물건이고 그 물건을 사는 사람에게 어떤 쓸모가 있는지 설득력 있게 전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그 물건을 샀을 때 어떤 경험을 하게 될 것인지, 특히 어떤 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인지 상상해 볼 수 있는 자료를 줄 수 있어야 합니다.
심리상담은 임상적인 행위인 동시에 그 역시 파는 사람과 사는 사람이 있는 마케팅의 영역입니다. 이에 위 팟캐스트에서는 마케팅 관점에서 심리상담이 소비재로서 어떤 면모를 갖추어야 하는지 설명합니다.
극단적으로 소외된 상황에서 자기 자신을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없을 때, 주어진 고통을 올바르고 명예롭게 견디는 것만이 자기가 할 수 있는 일의 전부일 때, 사람은 그가 간직하고 있던 사랑하는 사람의 모습을 생각하는 것으로 충족감을 느낄 수 있다. - 죽음의 수용소에서
인간의 상상을 뛰어넘는 참혹한 수용소 환경에서 누군가 이야기합니다. “만약 마누라들이 우리가 지금 이러고 있는 꼴을 본다면 어떨까요? 제발이지 마누라들이 수용소에 잘 있으면서 지금 우리가 당하고 있는 일을 몰랐으면 좋겠소.”
이 말을 듣고 빅터 프랭클은 아내 생각이 났고, 그 누구도 말은 없었지만 자신이 그랬듯 다들 자신의 아내 생각을 하고 있을 거라 추측하는 대목입니다. 그러면서 아내가 웃는 모습, 용기를 주는 듯한 시선을 떠올립니다.